대부분 주식시장에서 어느 정도 투자 경험이 있다면 누구나 금리가 인상한다고 주식시장이 바로 무너지지는 않는다는 사실은 잘 알고 있을 것이다. 중앙 정부에서 금리를 인상한다는 의미는 금리를 인상해도 경기가 계속 탄탄하게 성장 유지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있다는 것이다. 경기 확장이 지속되는 한 주식시장도 함께 상승하기 마련이다. 그래서 적어도 금리인상기 초기에는 주식시장이 끝날 것이란 걱정은 너무 이르다.
누구나 경기가 이보다 더 호황이 없다고 자신하고, 누구나 주식시장의 상승에 의구심을 가지지 않은 그날이 오기 전까지 주식시장은 근심의 벽을 타고 오를 것이다. 주식시장이란 향후 전망에 대한 논쟁이 있고 시장 참여자의 불안이 있을 때는 폭락하지 않고 오히려 누구나 주식시장의 상승에 의심이 사라질 때가 마지막 꼭지가 되는 경우가 많았다는 것이 그동안의 경험에서 느낀 결론이다.
그러면, 다가올 금리인상기에 가치주를 매매해야 할까? 아니면 성장주를 매매해야 할까? 일반적으로 금리인상기에는 성장주보다는 가치주가 낫다고 한다. 가치주는 보통 경기민감주에 속한 경우가 많은데 금리인상기는 경기가 확장 국면에 들어서니 경기 호황초기에는 가치주도 경기의 확장과 더불어서 기업실적도 좋아지고 더구나 밸류부담도 적으니 매매하기에 부담이 덜하다. 반면에 성장주들은 이미 고밸류 상태가 대부분인데 금리가 올라가니 계속 투자를 해나가야 하는 성장주에게는 아무래도 금리가 상승하는 것이 부담이 되고 또 그간 경기가 확장국면에 들어서기 전에는 경기민감주 실적이 개선되지 않아서 성장산업에 속한 성장주들의 성장성때문에 고밸류의 부담이 있어도 투자매력이 있었다.
그러나, 금리인상기에는 가치주들도 실적이 상승하므로 성장주의 상대적 투자매력이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더구나 미래가 화창한 성장주인데 현재실적이 적자인 경우 라든지 현재 실적이 너무 형편없이 적자만 모면하는 수준인 성장주의 경우에는 주가 상승에 부담이 될 것이다.
필자는 오늘 우리 일반투자자는 성장주냐 가치주냐의 논란속에 있지 말고 실적주와 바닥주에 집중하자고 말하고 싶다. 실적이 지속 상승하는 기업은 성장주 가치주 가릴 것없이 주가는 상승하기 마련이다. 그런데, 아무리 실적이 지속 상승하는 기업도 시세의 초입에서 매수해야 한다는 사실을 잊지 말자.
아무리 좋은 실적 성장주도 시세의 꼭대기에서 매수하면 주식으로 돈벌기는 어렵다. 그나마 장기성장주는 비록 고가권에서 매수해서 물렸다 하더라도 기다리면 본전회복하고도 지속성장하는 업황의 혜택을 주가상승으로 화답받을 수 있다.
그러나, 가치주는 그렇지 않다. 경기의 사이클을 잘못 판단하여 한번 고점에 물리면 경기사이클에 따라서 주가는 끝없이 하락하고 산업에 따라서는 어쩌면 다시 못 볼 가격대가 될 수도 있는 리스크가 있으니 정말 조심해야 한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장기 성장 산업군에 속한 우량주를 장기투자해야 한다는 결론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경기가 확장국면이므로 주식시장은 성장주와 경기민감주중에 실적 성장이 우량한 종목을 중심으로 순서를 바꿔가면서 시세를 분출하는 순환매 장세가 될 가능성이 많다.
우리가 순환매의 테마종목군이 어떤 순서로 바뀌는지는 알아낼수가 없다. 그래서, 성장주와 경기민감주중에 대표 종목 한개씩 바닥권에 편입해서 두개 종목 정도로 집중하는 전략이 가장 나아 보인다. 우리는 바닥권에서 매수했으므로 그냥 기다리기만 하면 되는 것이다. 순환매는 시장이 알아서 할 것이고 시세 분출도 시장이 알아서 해 줄것이다. 우리는 시세가 분출되면 열매만 수확하면 되는 것이다. 이미 바닥권에서 씨를 뿌렸기 때문에 씨뿌린자가 가지는 추수의 권리를 누릴수 있는 것이다.
그러면, 지금부터 매수하는 종목은 어떤 포인트를 가지고 해야 할까? 주가는 보통 기업실적의 6개월 선행한다고들 말한다. 이제 우리나라 주식은 내년도 기업 실적에 따라 주가는 움직이기 시작할 것이다. 즉, 내년도 기업 실적이 올해보다 성장하는 종목을 대상으로 해야 한다. 내년도 실적전망이 불투명한데 2분기 실적발표가 잘나오는 기업인 경우에는 이 좋은 실적발표가 매도의 기회가 될 수 있다. 2분기 실적이 잘 나오면서 내년도에도 실적전망이 좋은 기업이 실적 발표와 함께 주가가 상승탄력을 강하게 받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미 고가권에서 주가가 고공행진하는 주식이라면 아무리 좋은 전망이 있어도 따라 사면 안된다. 지금 안사면 영원히 못살 것 같아 안달이 나도 참아야 하며 지금 아무리 뜨거워도 언젠가 그것도 오랜시간이 아닌 수개월만 지나면 시들해지고 안정된 가격에서 매수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오니 그때 매수하기 바란다. 결론은 내년도 실적이 성장하는 기업 중에서 주가가 바닥권에 있는 주식을 대상으로 매수해야 할 것이다. 바닥권에서 시세 상승 초입의 주식을 어떻게 찾아내는지에 대해서는 다음 글에서 소개하겠다.
2021년 6월 23일
카르페디엠(Karpediem)
이 글은 투자 권유 목적이 아닙니다. 실제 투자는 본인 스스로의 판단에 의하여 본인의 책임하에 하여야 합니다.
이전 글
2021.06.22 - [투자 전략] - 32. 수출증가율과 KOSPI지수의 상관 관계
32. 수출증가율과 KOSPI지수의 상관 관계
6월 21일 오전, 산업통상자원부에서 6월 1일 ~ 20일까지의 잠정 전년 동월대비 29.5%의 수출증가율이 발표되었다. 지난 5월의 전년대비 증가율은 45.6%이었는데 6월은 그 증가율자체가 지난 5월에 비
karpe-diem.tistory.com
다음 글
2021.06.24 - [투자 전략] - 34. 바닥권에서 시세 상승 초입의 주식 찾는 방법
34. 바닥권에서 시세 상승 초입의 주식 찾는 방법
오늘은 챠트상에서 주가 바닥을 찾는 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주식투자할때 챠트만 보고 매매 하면 절대 안된다. 마찬가지, 챠트도 안보고 주식매매를 하면 절대 안된다. 거래량이 별로
karpe-diem.tistory.com

'투자 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61. 최근 중국증시, 머슨 일이 Go? (0) | 2021.08.02 |
---|---|
53. 미 연준의 테이퍼링보다 더 무서운 것 (0) | 2021.07.18 |
32. 수출증가율과 KOSPI지수의 상관 관계 (0) | 2021.06.22 |
31. 6월 FOMC회의 이후 변화하는 시장 (0) | 2021.06.21 |
29. 최근 국제 유가 급등의 수혜종목 고를때 주의할 점 (0) | 2021.06.18 |
댓글